분류 전체보기 157

백두대간 제17구간

백두대간 북진종주 17구간 산행일자 2022년 12월 11일(일요일) 산행코스 지기재-신의터재-무지개산-윤지미산-화령재 도상거리 15.65km 실제거리 16.8km 산행시간 ( 6시간 15분)휴식포함 제17차 대간길은 지기재(260m)-신의터재(280m)-무지개산-윤지미산(538m)-화령재 이다. 오늘 대간 길은 중화지구대 마지막 구간이다. 무지개 산은 대간길에서 200여 미터 벗어나 있다. 추워질 거라는 예보와 달리 날씨는 좋아 보인다. 문대장의 힘찬 구령과 함께 간단한 체조를 한 후 7시 15분 17차 대간길을 시작한다. 간단한 체조이지만 안전 산행을 위해서 정말 중요하다. 체조는 신체가 등산이라는 본 운동의 큰 자극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도록 자극에 순응하는 시간을 주기 위해서다. 겨울 날씨 답지 ..

백두대간도전 2022.12.12

백두대간 제16구간

제16차 대간길은 큰재(329m)-회룡재(340m)-백학산(625m)-개머리재(250m)-지기재(260m)이다. 오늘 대간 길 큰재에서 다음 대간길 화령재까지는 대간길에서 가장 편한 소위 중화지구대(中化地溝帶) 구간인데 크게 보면 지나온 추풍령에서 속리산 남쪽 화령재 까지를 말하는 이도 있으나, 이곳 상주의 공성면, 모동면, 모서면, 내서면, 화동면, 화서면 지역으로 대간길을 좌우로 감싸고 있는 지역이다. (中化란 과거 중모현(中牟縣)과 화령현(化寧縣)이었던 이 지역의 이름에서 나온 말이다.) 여기서 지구대(地溝帶)란 가늘고 긴 폭이 있는 계곡형태의 지형으로, 침식에 의한 계곡과 달리 단층활동에 의해 생성된 낮고도 길쭉한 골짜기를 말한다. 그래서 침식지형과 달리 단층활동으로 내려앉은 지형이다 보니 토심이..

백두대간도전 2022.11.28

백두대간 제15구간

백두대간 북진종주 15구간 산행일자 2022년 11월 12일(일요일) 산행코스 추풍령-금산-작점고개-무좌골산-용문산-웅이산(국수봉)-큰재 도상거리 17.9km 실제거리 21.3km 산행시간 07:00-14:15(7시간15분) 오늘 15차 대간길은 추풍령(220m), 금산(385m), 사기점고개(390.1m), 작점고개(340m), 무좌골산(474m), 용문산(708.4m), 웅이산(795m), 큰재(329m) 비교적 낮은 고도를 이어가는 대간길이다. 도로를 가로지르는 대간길은 길을 잃지 않도록 독도에 조심해야한다. 또한 낙엽이 깔린 내리막길은 미끄러우니 조심해야한다. 오전 7시 어김없이 문대장의 구령에 맞춰 간단한 체조를 하고 서둘러 배낭을 짊어지고 15차 대간길을 시작한다. “대간꾼들의 쉼터인 카리브모..

백두대간도전 2022.11.14

백두대간 제14구간

백두대간 북진종주 14구간 산행일자 2022년 10월 23일(일요일) 산행코스 우두령-바람재-황악산-여시골산-괘방령-눌의산-추풍령 도상거리 22.8km 실제거리 23.5km 산행시간 5시40-15시30분(9시간 50분) 오늘 대간 산행은 우두령(질매재, 720m), 삼성산(986m), 바람재(810m), 황악산(1,111m), 운수봉(689m), 여시골산(620m), 옛선비들의 과거길인 괘방령(과거시험에서 급제하여 붙인다는 괘방(掛榜)에서 유래되었다함)과, 가성산(716m), 눌의산(743m), 구름도 쉬어간다는 추풍령(221m)을 잇는 구간이다. 버스가 쌀쌀한 새벽공기를 가르며 괘방령에 도착한 것은 5시45분이다.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대원들은 등산준비에 분주하고, 문대장의 외침소리가 공허하게 들린다...

백두대간도전 2022.10.24

백두대간 제13구간

백두대간 북진종주 13구간 산행일자 2022년 10월 9일(일요일) 산행코스 부항령-백수리산-박석산-삼도봉-밀목령-감투봉-푯대봉-화주봉(석교산)-우두령 도상거리 18.1km 실제거리 21.38km 산행시간 7시30-16시30분(9시간) 오늘 산행은 부항령(680m), 백수리산(1,034m), 박석산(1,170.6m), 삼도봉(1,177m), 밀목령(933m), 푯대봉(1,172m), 석교산(화주봉1,207m), 우두령(질매재, 720m) 이다. 부항령(680m)은 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과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을 연결하는 고갯길이다. 과거에는 경상북도 김천과 전라북도 무주를 연결하는 대표적인 옛길로서 우마차가 넘어 다닐 정도로 넓은 길이었다고 한다. 부항령의 유래는 가목마을에 있는 고개여서 마을 이름을 ..

백두대간도전 2022.10.10

백두대간12구간

백두대간 북진종주 12구간 산행일자 2022년 9월 24일(일요일) 산행코스 빼재-소사고개-삼도봉-대덕산-덕산재-부항령 도상거리 20.5km 실제거리 24km 산행시간 7시30-16시30분(9시간) 백두대간 제12차 구간 빼재(1.8km)-된새미기재(2.5km)-덕유삼봉산(3.0km)-소사고개(3.2km)-초점산(삼도봉)(1.5km)-대덕산(3.0km)-덕산재(5.2km)-부항령 구간는 해발고도를 600m 높였다가 다시 600m 낮추는 것을 고개를 세번이나 지나는 구간이다. 해발이 빼재(899m), 덕유삼봉산(1,255), 소사고개(656m), 초점산(삼도봉)(1,249m), 덕산재(544m), 대덕산(1,290m), 부항령(680m)로 오르내리는 해발은 500m 이지만 오르내림이 많아 지난번 동엽령- ..

백두대간도전 2022.09.26

백두대간11구간

백두대간 북진종주 11구간 산행일자 2022년 9월 11일(일요일) 산행코스 안성탐방소-동엽령-백암봉-횡경재-대봉-빼봉-빼재-신풍령휴게소 도상거리 20km 실제거리 24km 산행시간 7시30-5시00분(9시간30분) 백두대간 제11차 안성매표소(4.4km)-동엽령(2.2km)-백암봉(송계삼거리)(1km)-중봉(1km)-향적봉(1km)-중봉(1km)-백암봉(송계삼거리)(3.2km)-귀봉(2km)-횡경재(5.8km)-빼봉(1,039m)-빼재(3km)-신풍령휴게소 구간은 백암봉(1,503m), 향적봉(1614m), 귀봉(1390m), 못봉(지봉)(1,343m), 대봉(1203m), 빼봉(1,039m)등 7개의 1,000m 를 넘는 봉우리를 걷는 구간이다. 어젯밤 늦게 준비해둔 도시락과 간식을 챙겨 배낭에 넣고..

백두대간도전 2022.09.13

백두대간10구간

백두대간 북진종주 10구간 산행일자 2022년 8월 28일(일요일) 산행코스 육심령-할미봉-남덕유산-삿갓봉-무룡산-동엽령-안성탐방소 도상거리 22.5km 실제거리 24.3km 산행시간 5시30-16시00(11시간30분) 백두대간 제10차 육심령-동엽령 구간은 할미봉(1,026m), 서봉(1,492m), 남덕유산(1,507m), 삿갓봉(1,418m), 무룡산(1,491m), 칠이남쪽대기봉(일명가림봉)(1,433m)등의 1,000m가 넘는 봉우리들을 지나는 장쾌한 마루금을 걷는 구간이다. 잠을 깨니 새벽 01시다. 저녁에 준비해둔 등산 옷가지와 아내의 정성이 담긴 점심 도시락을 배낭에 우겨넣고 집을 나선 시간은 01시 40분이다. 새벽공기를 가르며 달리는 차안에서 오늘 11시간여를 걷는 힘든 대간길을 무탈하..

백두대간도전 2022.08.30

백두대간 9구간

백두대간 북진종주 9구간 산행일자 2022년 8월 14일(일요일) 산행코스 중재-백운산-무령고개-영취산-덕운봉-깃대봉-육십령 도상거리 19.7km 실제거리 20km 산행시간 7시30-16시00(8시간30분) 함양군 백전면 중기마을에 도착한 시간은 7시 30분이다. 잠을 깨니 3시 20분에 맞추어 둔 알람이 아직 울리지 않았다. 어제 준비해둔 옷가지, 물, 도시락 등을 배낭에 집어넣고 집을 나선 시간은 3시40분이다. 35번 국도를 15분간 달려 포항- 익산 간 고속도로에 올리기 까지 앞뒤로 보이는 차량이 없다. 한적한 고속도를 여유롭게 달리며 라디오주파수를 kbs 오디오북에 맞춘다.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단편도 있고, 이야기에 한없이 빠져드는 단편도 있다. 듣다보면 어느새 5군수사령부앞 주차장에 도착하..

백두대간도전 2022.08.16

송해공원을 다녀오다

송해선생이 돌아 가신지 두달 송해기념관과 송해선생 묘소가 있는 송해공원을 다녀왔다. 송해공원은 대구 달성군 옥포읍 기세리969-44 옥연지 일대이다. 송해기념관 주차장에 주차를하고 물레방아는 시원한 물소리를 내며 돌아가고, 옥연지 가운데 커다란 분수는 수시로 물을 뿜어 올린다. 공원 곳곳에는 송해상이 있으며 송해노래가 흘러나온다. 둘레길을 돌고 시원한 분수를 바라보며 송해선생을 기억한다. 언제나 소탈하시고 정감있는 말투와 이웃집 아저씨같은 모습을 그려본다. 공원둘렛길을 돌고 기념관 잎길 건너 송해선생 묘소를 둘러 보았다. 묘소는 길입구에서 나즈막한 오르막 350 m 거리에 있다. "송해선생부부묘소 가는길" 안내가 있고 묘소 입구에는 송해선생 부인 '석옥이 여사묘' 50 m 라는 안내간판이 있다. 송해선생..

백두대간도전 2022.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