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도전 51

백두대간12구간

백두대간 북진종주 12구간 산행일자 2022년 9월 24일(일요일) 산행코스 빼재-소사고개-삼도봉-대덕산-덕산재-부항령 도상거리 20.5km 실제거리 24km 산행시간 7시30-16시30분(9시간) 백두대간 제12차 구간 빼재(1.8km)-된새미기재(2.5km)-덕유삼봉산(3.0km)-소사고개(3.2km)-초점산(삼도봉)(1.5km)-대덕산(3.0km)-덕산재(5.2km)-부항령 구간는 해발고도를 600m 높였다가 다시 600m 낮추는 것을 고개를 세번이나 지나는 구간이다. 해발이 빼재(899m), 덕유삼봉산(1,255), 소사고개(656m), 초점산(삼도봉)(1,249m), 덕산재(544m), 대덕산(1,290m), 부항령(680m)로 오르내리는 해발은 500m 이지만 오르내림이 많아 지난번 동엽령- ..

백두대간도전 2022.09.26

백두대간11구간

백두대간 북진종주 11구간 산행일자 2022년 9월 11일(일요일) 산행코스 안성탐방소-동엽령-백암봉-횡경재-대봉-빼봉-빼재-신풍령휴게소 도상거리 20km 실제거리 24km 산행시간 7시30-5시00분(9시간30분) 백두대간 제11차 안성매표소(4.4km)-동엽령(2.2km)-백암봉(송계삼거리)(1km)-중봉(1km)-향적봉(1km)-중봉(1km)-백암봉(송계삼거리)(3.2km)-귀봉(2km)-횡경재(5.8km)-빼봉(1,039m)-빼재(3km)-신풍령휴게소 구간은 백암봉(1,503m), 향적봉(1614m), 귀봉(1390m), 못봉(지봉)(1,343m), 대봉(1203m), 빼봉(1,039m)등 7개의 1,000m 를 넘는 봉우리를 걷는 구간이다. 어젯밤 늦게 준비해둔 도시락과 간식을 챙겨 배낭에 넣고..

백두대간도전 2022.09.13

백두대간10구간

백두대간 북진종주 10구간 산행일자 2022년 8월 28일(일요일) 산행코스 육심령-할미봉-남덕유산-삿갓봉-무룡산-동엽령-안성탐방소 도상거리 22.5km 실제거리 24.3km 산행시간 5시30-16시00(11시간30분) 백두대간 제10차 육심령-동엽령 구간은 할미봉(1,026m), 서봉(1,492m), 남덕유산(1,507m), 삿갓봉(1,418m), 무룡산(1,491m), 칠이남쪽대기봉(일명가림봉)(1,433m)등의 1,000m가 넘는 봉우리들을 지나는 장쾌한 마루금을 걷는 구간이다. 잠을 깨니 새벽 01시다. 저녁에 준비해둔 등산 옷가지와 아내의 정성이 담긴 점심 도시락을 배낭에 우겨넣고 집을 나선 시간은 01시 40분이다. 새벽공기를 가르며 달리는 차안에서 오늘 11시간여를 걷는 힘든 대간길을 무탈하..

백두대간도전 2022.08.30

백두대간 9구간

백두대간 북진종주 9구간 산행일자 2022년 8월 14일(일요일) 산행코스 중재-백운산-무령고개-영취산-덕운봉-깃대봉-육십령 도상거리 19.7km 실제거리 20km 산행시간 7시30-16시00(8시간30분) 함양군 백전면 중기마을에 도착한 시간은 7시 30분이다. 잠을 깨니 3시 20분에 맞추어 둔 알람이 아직 울리지 않았다. 어제 준비해둔 옷가지, 물, 도시락 등을 배낭에 집어넣고 집을 나선 시간은 3시40분이다. 35번 국도를 15분간 달려 포항- 익산 간 고속도로에 올리기 까지 앞뒤로 보이는 차량이 없다. 한적한 고속도를 여유롭게 달리며 라디오주파수를 kbs 오디오북에 맞춘다.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단편도 있고, 이야기에 한없이 빠져드는 단편도 있다. 듣다보면 어느새 5군수사령부앞 주차장에 도착하..

백두대간도전 2022.08.16

송해공원을 다녀오다

송해선생이 돌아 가신지 두달 송해기념관과 송해선생 묘소가 있는 송해공원을 다녀왔다. 송해공원은 대구 달성군 옥포읍 기세리969-44 옥연지 일대이다. 송해기념관 주차장에 주차를하고 물레방아는 시원한 물소리를 내며 돌아가고, 옥연지 가운데 커다란 분수는 수시로 물을 뿜어 올린다. 공원 곳곳에는 송해상이 있으며 송해노래가 흘러나온다. 둘레길을 돌고 시원한 분수를 바라보며 송해선생을 기억한다. 언제나 소탈하시고 정감있는 말투와 이웃집 아저씨같은 모습을 그려본다. 공원둘렛길을 돌고 기념관 잎길 건너 송해선생 묘소를 둘러 보았다. 묘소는 길입구에서 나즈막한 오르막 350 m 거리에 있다. "송해선생부부묘소 가는길" 안내가 있고 묘소 입구에는 송해선생 부인 '석옥이 여사묘' 50 m 라는 안내간판이 있다. 송해선생..

백두대간도전 2022.08.10

백두대간8구간

백두대간 북진종주 8구간 산행일자 2022년 7월 24일(일요일) 산행코스 복성이재-치재-봉화산-월경산-중재 도상거리 13.59km 실제거리 12.29km 산행시간 7시30-12시30(5시간) 7구간의 들머리 복성이재에 버스가 도착한 시간은 7시 30분이다. 7구간에서 힘들었던 기억을 뒤로하고 곧장 복성이재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약간의 능선을 오르니 길옆으로 철쭉나무들이 즐비하다. 봄이면 봉화산을 뒤덮는 철쭉이 봉화산에 불이난것처럼 붉은 철쭉으로 유명하지만 지금은 앞이 보이지 않고 철쭉나무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을씨년스럽기만 하다. 능선길에는 억새가 길을 덮고 있다. 마르지 않은 빗물이 바짓가랑이를 적시더니 등산화도 질퍽거린다. 치재의 잘 꾸며진 정자를 지나니 앞이 보이지 않는 키큰 철쭉으로 뒤덮인 산길이..

백두대간도전 2022.07.25

백두대간 7구간

백두대간 북진종주 7구간 산행일자 2022년 7월 10일(일요일) 산행코스 여원재-고남산-유치재-새맥이재-복성이재 도상거리 19.8km 실제거리 20.1km 산행시간 7시50-15시(7시간10분) 여원재는 전북 남원시 이백면과 운봉읍의 경계인 백두대간의 고개로 산줄기는 고남산과 수정봉을 잇고, 물줄기는 낙동강과 섬진강의 분수령이다. 남원에서 운봉을 지나 인월과 함양을 오가던 옛길이다. 예부터 영남과 호남을 연결하는 중요한 길목으로 영호남지방 진격을 위한 쟁탈의 대상이 되었다. 이 고개 서쪽에 고려말기 작품으로 보이는 마애불상이 있는데 이성계가 지리산 여신이 꿈속에서 가르쳐준 대로 고남산에서 제사를 지낸 뒤, 운봉 황산(황산대첩)에서 아지발도가 이끄는 왜적을 물리친 뒤 그 보답으로 새겼다고 한다. 마애불상..

백두대간도전 2022.07.11

백두대간 6구간

백두대간 북진종주 6구간 산행일자 2022년 6월 26일(일요일) 산행코스 성삼재-묘지봉-만복대-정령치-큰고리봉-주촌리-노치마을-수정봉-여원재 도상거리 18.1km 실제거리 19.36 산행시간 8시00분-16시(8시간) 5구간에서 산행을 마쳤던 성삼재에 버스로 내려 처음으로 접속구간 없이 출발한다. 흐리지만 비는 오지 않는다. 안개가 자욱하더니 바람이 세차게 분다. 거의 오르막이 없이 성삼재(해발1070m)에서 고리봉(1248m)에 닿는다. (고리봉에서 인증샷) 블랙야크 백두대간 인증용 사진 한 장 찍고 출발한다. 묘봉치를 지나 만복대에 닿는다. 여기도 인증장소이다. gps 인증하고, 인증용 사진 한 장 부탁한다. 아뿔싸, 고리봉에서 블랙야크 백두대간 gps 인증을 안했다. 100m안에서 인증을 하여야하..

백두대간도전 2022.06.27

백두대간 종주 계획서

명칭 대구드림산악회 백두대간7기 북진종주계획서 대상지 지리산 천왕봉-강원도 진부령 향로봉 거리 도상거리794.792km/실제 거리1400km 기간 2022년4월10일-2023년10월22일 출발날짜 매주 2째, 4째주 일요일 산행대장 문상진 일자 구간 코스 도상거리 실제거리 22/04/10 1구간 어천-웅석봉-왕재-밤머리재 8.5 10 04/24 2구간 밤머리재-왕등재-왕등습지-외고개-새재-오봉리 10 11.5 05/08 3구간 오봉리-새재-하봉-중봉-천왕봉-장터목-중산리 14 17 05/22 4구간 백무동-장터목-세석평전-벽소령-음정 22.4 24.5 06/12 5구간 음정-삼각봉-삼도봉-노고단-성삼재 25.92 24.3 06/26 6구간 성삼재-만복대-정령치-큰고리봉-수정봉-여원재 19.36 18.1 ..

백두대간도전 2022.06.13

백두대간 5구간

백두대간 북진종주 5구간 산행일자 2022년 6월 12일(일요일) 산행코스 음정-벽소령-연하천-토끼봉-삼도봉-화개재-임걸령-돼지평전-노고단-성삼재 도상거리 24.3km 실제거리 25.92km 산행시간 7시30분-17시(9시간30분) 음정마을에서 군사도로 6km을 달리듯이 걸어도 선두그룹을 따라잡지 못하겠다. 1시간 40분 걸려 벽소령에 도착한다. 벽소령은 광대한 지리산 중심부의 허리처럼 잘록한 고개로 지리산 능선에서 가장 낮은 1,350m다. 벽소령을 둘러싸고 있는 주위의 높고 푸른 산들이 겹겹이 쌓여 깊은 달밤이면 숲 위로 떠오른 달빛이 너무 희고 맑아 푸르스름하게 보이기까지 한다하여 지리 10경중의 하나로 벽소명월(碧霄明月)이 꼽힌다. 백두대간 종주 팀은 그런 풍경은 사치인지 모른다. 바위두개가 나란..

백두대간도전 2022.06.13